탄소중립과 그린전환/ESG 경영과 탄소저감 기술, 친환경 스타트업
탄소포집(CCUS) 기술 개발 현황과 수혜 기업
세상찾기
2025. 7. 10. 21:57
반응형
– 탄소중립 시대의 핵심 산업을 선점하라
반응형
1. CCUS란 무엇인가 – 탄소 제로를 넘어 순환으로
**CCUS(Carbon Capture Utilization & Storage)**는
① 배출원을 선택해 CO₂를 포집하고,
② 순수 CO₂를 **이용(Utilization)**하거나
③ 지하 저장(Storage) 하는 3단계 고도 기술로,
IEA는 “2050 탄소중립 달성에는 CCUS 없이는 불가능”이라고 강조할 정도로 기후정책 핵심 수단입니다.
한국도 2023년 CCUS 특별법을 제정해 **향후 1.2 Mtpa(연간) 규모의 저장 목표(2030년)**를 설정했으며 MK빌리어드 뉴스+10네이버 블로그+10한국경제+10센TV+7Korean National Oil Corporation+7media.skens.com+7,
동해가스전 폐가스전 저장 실증 프로젝트를 통해 세계적인 저장 기술 경쟁력 확보를 목표로 잡고 있습니다.
2. 포집 → 저장/이용까지 기술 구성과 주요 실증 현황
2.1 포집 기술 – 세 가지 방식으로 적용 구역 다각화
- Post‑combustion: 기존 화력·산업시설의 배출가스를 흡수제 기반으로 정제.
- Pre‑combustion: 수소 생산 원료 개질 시 CO₂ 분리.
- Oxy‑combustion: 순산소 연소로 고순도 CO₂ 생성, 효율적 포집 가능.
SK이노베이션은 동해가스전 기반 포집 실증(연간 40만 톤 목표)을 추진하며 탄탄한 R&D 협업 체계를 이미 구축 중입니다 센TV+1아이뉴스24+1k-buildnews.com+5머니S+5G-Enews+5.
2.2 활용(Utilization) – 소재 혁신에서 수익모델 창출
- Kumho Petrochemical + POSCO JV는 CO₂를 탄소나노튜브(CNT) 원료로 전환하는 실증 플랜트를 준비 중이며,
- Lotte Chemical 역시 여수공장에서 연간 6만 톤 규모 CCU 실증 시설을 운영해 화학 산업 내 탄소 전환 수익 모델을 현실화하고 있습니다 .
2.3 저장(Storage) – 국내외 협업 통한 대형 실증 프로젝트
- 동해-1 가스전 1.2 Mtpa 규모 저장 실증은 KNOC와 한전연구원 협업 구조로 2025~2028년 설계·착공 예정이며 머니S+4Korean National Oil Corporation+4더밸류뉴스+4,
- SK E&S는 호주 바로사 가스전 CCS를 통해 호주·동티모르 협력을 가속화하고 있습니다 media.skens.com+1머니S+1.
3. 국내 CCUS 핵심 기업 분석 – 기술·수익 모델 비교
기업 | 포집 기술 | 이용(Storage/Utilization) | 수주 실적 & 협업 |
SK이노베이션 | 동해 실증 기반 Post-combustion | 저장 및 글로벌 실증 협업 | EU·8 Rivers 협력, 연간 40만톤 실증 k-buildnews.com |
DL E&C | EPC 설계·조달·시공 | MOU 기반 저장 기술 적용 | 2024까지 누적 1조 수주, 2025~27년 연 1조 수주 목표 |
Kumho Petrochemical | Pre-combustion 실증 설비 | CO₂→CNT 사업 모델 | 여수 공장 기준 2025년 연 6.9만 톤 설계 완료 |
Lotte Chemical | Post + CCU 테스트 | CO₂ 활용 화학제품 생산 테스트 | 여수 CCU 실증 진행 중 |
CarbonCo + Samsung Eng., Hyundai Eng. | 글로벌 EPC 및 모듈화 기술 | 해외 저장 프로젝트 협력 | 다국가 실증 경험, Svante 협업 시작 |
4. 투자 전략 키 포인트 – 기술 완성도·수주 실적·수익모델 중시
투자자 관점에서는 다음 4가지 기준 중심으로 접근할 필요가 있습니다:
- 포집량 (Mtpa) – 예: SK이노 0.4Mtpa, KNOC 동해 1.2Mtpa
- EPC 수주 실적 – DL E&C는 2024년까지 누적 1조 수주, 연 1조 유지 목표 G-Enews+9아이뉴스24+9네이버 블로그+9
- CCU 활용 모델 상용화 속도 – Kumho, Lotte 실증 단계→2025~26년 상용화 진입 예상
- 정책·해외 저장 협력 체계 – KNOC, SK E&S, CarbonCo 등 글로벌 파트너 확보 여부
📅 투자 타이밍 전략:
- 2025~28년: 국내 실증 플랜트 수주 → 주가 선반영 가능
- 2030년대: 해외 저장-이용 상용화 단계 → 글로벌 수익 구조 형성
✅ 종합 – CCUS, '탈탄소 시대의 인프라'에 투자하라
- CCUS는 탄소중립 정책의 최후 장벽
- 실증에서 상용화로 넘어가는 2025~2030년대는 수급부와 수익모델 구축 단계
- 핵심 기술과 수주 실적, 글로벌 저장 협업을 갖춘 SK이노, DL E&C, Kumho, Lotte, CarbonCo/Samsung Eng. 등이 유력 수혜주
- 포집능력·수주예정 규모·기술 완성도를 중심으로 중기 분할 매수 전략이 적합
반응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