탄소중립과 그린전환/재생에너지 및 친환경 신산업 투자 전략

폐기물 자원화·에너지화 사업과 친환경 기업 사례

find-infor 2025. 7. 9. 23:30
반응형

– 순환경제에서 수익을 찾다

폐기물 자원화·에너지화 사업과 친환경 기업 사례

반응형

1. 자원순환을 넘어, 에너지 전환까지 연결된 폐기물 산업

2025년 대한민국 탄소중립 전략에서
폐기물 자원화 및 에너지화는 더 이상 선택이 아닌 의무입니다.
환경부는 “폐기물 100% 처리”에서 “폐기물 0% 발생”이라는
순환경제(Circular Economy) 완성을 목표로
관련 예산을 전년 대비 35% 이상 증액1조 2천억 원 이상을 투입합니다.

핵심 사업은 다음과 같습니다:

  • 생활 폐기물 선별·재활용 시설 현대화
  • 유기성 폐기물(음식물 등) 바이오가스화 사업 확대
  • 산업 폐기물 고형연료(SRF)화 시설 보급 지원
  • 소각 잔재물 회수 금속 자원화(RDF 금속 회수)
  • 폐기물 처리 데이터를 연계한 스마트화 추진

이처럼 ‘쓰레기 문제’가 아니라 ‘에너지 자립 수단’으로서의 폐기물 산업
정책과 시장 모두에서 주목받고 있습니다.


2. 폐기물 에너지화 기술 – SRF, 바이오가스, 자원 회수 기술이 핵심

폐기물 자원화·에너지화는 단순한 소각을 넘어
‘재생연료화(SRF)’와 ‘바이오에너지 생산’, ‘금속·자원 회수’ 등으로 고도화되고 있습니다.

🔥 고형연료(SRF)화 기술

  • 플라스틱, 폐합성수지, 섬유 등 비유기성 폐기물 가공
  • 보일러 연료 또는 발전 연료로 재활용 가능
  • 특히 산업단지 내 자체 열원 대체 수단으로 주목

👉 관련 기업: 코엔텍, 와이엔텍, 성신양회

🍃 바이오가스화 기술

  • 음식물 쓰레기, 분뇨 등 유기성 폐기물에서 메탄가스를 추출
  • 추출된 가스는 열병합 발전·연료전지·수소 전환에도 활용 가능
  • 지자체 위탁운영 + 민간기술 연계가 많음

👉 관련 기업: 에코엔비텍, 이엔코퍼레이션, 지엔원에너지

🔩 자원 회수·리사이클링

  • 소각 후 남은 슬러지·재에서 금속, 희토류 등 회수
  • 비철금속 재활용 사업 확대 + 배터리 금속 회수 연계

👉 관련 기업: 에코마이스터, 에코앤드림, 에코프로CNG


3. 친환경 기업 사례 – 처리업체에서 자원·에너지 기업으로 전환 중

폐기물 처리 전문 업체들은 이제
‘처리업’이 아닌 ‘에너지 기업’으로 포지션을 이동 중입니다.

♻ 코엔텍

  • 산업폐기물 처리 + SRF 생산
  • 울산산단 중심의 폐열 활용 모델 보유
  • SK 계열 편입 후 탄소중립 연계사업 확장 중

♻ 와이엔텍

  • 전남권 음식물·산업 폐기물 종합 처리 기업
  • SRF 생산 + 자체 발전 + 항만 물류 인프라까지 보유
  • 폐기물 처리 + 물류 + 발전 융합 모델로 진화 중

♻ 이엔코퍼레이션

  • 폐기물 바이오가스화 기술 특허 보유
  • 지자체 위탁 운영 중인 바이오가스 시설 다수
  • 바이오가스 → 수소 추출 기술 실증사업 참여 중

♻ 에코마이스터

  • 소각 잔재물에서 금속 회수
  • 건설·제철 산업 부산물 재활용 시스템 구축
  • 최근에는 배터리 폐자원 재활용 연계 기술 개발 중

이처럼 정책 + 기술 + 폐기물 물량 안정성을 모두 확보한 기업들이
2025년 이후 구조적 성장 국면에 진입하고 있습니다.


4. 투자 포인트 – 처리량이 아닌 ‘에너지 환산 가치’를 보라

기존 폐기물 관련 투자는 처리 용량 or 단가 상승 중심이었다면,
2025년부터는 에너지 전환 가치 + 탄소 감축 효과 + 정책 연계 사업 실적이 주요 투자 포인트입니다.

📌 투자자가 주목할 3가지 기준

기준 설명 예시 기업
① 자원·에너지 환산 모델 확보 폐기물 → 전기·가스·연료로 환산 수익 창출 와이엔텍, 이엔코퍼레이션
② 정부 위탁·실증사업 경험 바이오가스 실증, RDF 생산 등 정책 연계 이력 에코엔비텍, 에코마이스터
③ 복합 모델 구축 폐기물 + 물류, 발전, 자원 회수 융합 코엔텍, 에코프로CNG
 

특히 지방자치단체와의 협약·위탁 운영 이력,
탄소중립 R&D 과제 참여 여부,
자원화 수익 비중 증가 추세 등은
IR 자료나 ESG 보고서에서 반드시 확인해야 할 핵심입니다.


✅ 정리하며 – 폐기물은 부담이 아니라 기회다

  • 2025년 폐기물 자원화 예산 확대는 ‘기술 중심 산업화’의 신호
  • 소각·매립 중심에서 자원·에너지 회수 모델로 전환 중
  • SRF, 바이오가스, 금속 회수 등 세부 기술 구조 주목
  • 정부 위탁 + 기술 실증 + 수익화 모델을 모두 갖춘 친환경 기업 중심으로 중기 전략 유효
반응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