국내외 정치 이벤트와 주식시장 반응/국내 정치·정책 이슈 관련

이재명 정부 시작, 경제정책이 주식시장에 미치는 영향은?

find-infor 2025. 7. 1. 23:10

이재명 정부 시작, 경제정책이 주식시장에 미치는 영향은?

🔍 1. 이재명 정부 경제정책 기조 요약

이재명 대통령은 다음과 같은 경제 3대 방향을 공약 및 국정 과제로 제시했습니다:

  1. 확장적 재정정책
    • 복지 확대, 청년·노인 소득보장, 지방균형발전 재정투입
  2. 부동산 정상화 및 세제 개편
    • 종부세 완화, 1주택자 부담 경감, 공공임대 확대
  3. 노동 및 사회안전망 강화
    • 최저임금 인상 기조, 플랫폼 노동자 보호 강화

이러한 정책 방향은 곧 특정 산업에 유리한 환경을 조성하고
다른 산업엔 압박 또는 규제 리스크로 작용할 수 있습니다.


🏠 2. 수혜 산업 ① – 건설·공공임대·SOC 관련주

이재명 정부는 공공임대 확대와 지역 균형개발을 핵심 공약으로 삼았으며,
국토교통부는 이미 5년간 100만 호 공공주택 공급 계획을 발표했습니다.

📌 유망 테마와 종목

테마 내용 대표 종목
공공임대 건설 공공주택 시공 및 시행 한신공영, HDC현대산업개발
지역 SOC 투자 도로·철도 등 공공인프라 남광토건, 특수건설
레미콘·시멘트 수요 증가에 따른 수혜 쌍용C&E, 삼표시멘트
 

📈 주목할 점:

  • 1분기 대비 2분기 건설 수주 증가율 12% 상승
  • SOC 예산 증액 전망: 2026년까지 연평균 8%↑

🧓 3. 수혜 산업 ② – 복지·의료·바이오 관련주

확장 재정정책의 핵심은 복지예산 증가입니다.
노인, 장애인, 기초생활수급자 지원 확대는 헬스케어 및 복지 인프라 기업
지속적인 수혜로 작용할 수 있습니다.

📌 유망 테마와 종목

테마 내용 대표 종목
요양·복지 서비스 고령층 수혜 정책 씨젠, 코리아에셋투자증권(헬스케어 투자지주)
공공 의료기관 확충 공공병원 건설·운영 보령, 녹십자
바이오 시밀러 보험급여 확대 대상 셀트리온, 삼성바이오로직스
 

⚖️ 4. 리스크 산업 – 금융·플랫폼·에너지

정책의 방향이 모두 수익이 되지는 않습니다.
일부 산업군은 규제 강화·수익성 저하 가능성으로
단기 리스크 요인이 될 수 있습니다.

📌 잠재적 피해 산업

산업 리스크 요인 예시
플랫폼 플랫폼 독점 규제 강화 카카오, 네이버 등
에너지 탈원전 복귀 가능성, LNG 위주 정책 두산에너빌리티 단기 조정 우려
금융 금융소득종합과세 기준 강화 가능성 증권주 단기 변동성 확대
 

📊 5. 외국인 수급과 증시 반응

이재명 정부 출범 이후, 외국인 순매수는 일시적으로 증가했습니다.
이는 정책 불확실성 해소와 적극적 재정 집행 기대감이 반영된 결과로 풀이됩니다.

  • 2025년 6월 기준 외국인 순매수: 2.1조 원
  • 특히 건설·소비재·공기업 섹터에 집중된 매수세 포착

단, 세제 개편 방향이 불확실하고
**노동시장 개편 리스크(파업, 비용 증가 등)**는 향후 조정 요인이 될 수 있습니다.


✅ 투자전략 제안 요약

전략 구분 설명
단기 유망 건설주, 지방 SOC 테마, 헬스케어 인프라 종목
중기 유망 복지 확대 수혜 바이오·요양 서비스주
주의 필요 플랫폼·에너지·금융 규제 리스크 감안 필요
모멘텀 확인 정책 집행 예산안 발표 시 타이밍 포착
 

🔚 마무리 – 이재명 정부 출범, 투자자 관점에서의 요점

새로운 정부의 출범은 국가 방향성과 경제 중심축이 바뀌는 계기가 됩니다.
이재명 정부의 경우, 재정지출 확대와 복지정책 강화라는 명확한 정책 신호가 존재하며
이는 곧 산업 구조와 종목 간 격차를 확대하는 요인으로 작용할 것입니다.

정책 수혜주는 장기적 안목과 함께
실제 예산 집행 흐름기업의 실적 반영 여부를 함께 점검하며 투자에 접근해야 합니다.